[강의요약]정보통신기사 학습
목표: 필기취득 2년이 다가오므로 마지막이라고 생각하자. 탈.락.절.안
2018년 정보통신기사!
1. ATM(Asynchronous Transfer Mode)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.
- ATM(비동기전달모드)이란 회선교환의 실시간성 및 패킷교환의 유연성을 통합시킨 연결지향적 패킷교환 복합기술이다.
- ATM 참조모델의 3가지 평면(Plane)
-
- 사용자(User)평면
- 사용자 간의 데이터 전송을 규정
-
- 제어(Control)평면
- 연결설정, 해제와 관련된 기능
-
- 관리(Management)평면
- 성능관리와 장애관리, 주평면을 통합 관리하는 기능
-
- AAL에서 서비스 클래스를 지원하기 위한 AAL type(4가지)
- Type-1(AAL1), Type-2(AAL2), Type-3/4(AAL3/4), Type-5(AAL5)
참고: AAL(ATM Adaption Layer)이란 ATM계층과 그 상위계층 상호간을 적응 연결 시켜준다. - ATM 계층 : 음성,영상,전송매체,서비스 등을 의식하지 않고 ATM 셀의 전송에만 관여 - AAL 계층 : 각 서비스 마다의 다양한 요구조건(QoS)의 차이를 흡수하는 역할
2. 인터넷 전송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 종단 간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은?
정답: UDP
참고: User Datagram Protocol은 TCP/IP 프로토콜 중 전송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이다. - 비연결성이며 신뢰성이 낮다. - 빠른 요청과 응답이 필요한 실시간 응용에 적합하다.
3. OSI 관련 계층을 쓰시오
-
- 전자우편 및 파일전송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 제공
- 응용계층
-
-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인터페이스
- 물리계층
-
- 로그인 및 로그아웃 절차
- 세션계층
4. 회선제어방식에서 폴링은 터미널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묻는 과정이다. 이를 구현하기 위한 2가지 폴링방식을 열거하라.
- 롤-콜(roll-call) 폴링
- 주국이 차례대로 각 보조국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문의하는 방식
- 허브-고-어헤드(hub-go-ahead)폴링
- 폴링메시지(Token)을 보조국에게 전달하고 보조국끼리 차례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roll-call의 오버헤더를 줄일 수 있다.
5. 다중화장비와 집중화장비에 관해 설명하고 차이점을 쓰시오.
-
다중화장비는 다수의 저속채널을 하나의 고속채널로 묶어서 전송한다. 입력 측과 출력측의 전체대역폭이 같다. 기억장치, 버퍼가 없고 저가이다.
-
집중화장비는 다수의 저속채널을 다수의 고속채널로 묶어서 전송한다. 입력츨과 출력측의 전체대역폭이 다르다. 기억장치, 버퍼가 있고 고가이다.
[RE]6. 16상 위상변조방식에서 변조속도 1800[baud]인 신호의 전송속도는 얼마인가?
QAM이란 직교변폭변조로서 서로 직교하는 반송파에 진폭과 신호를 함께 실어보내는 변조방식이다.
-
16QAM은 심볼 당 4비트 전송이 가능하다.
-
집중화장비는 다수의 저속채널을 다수의 고속채널로 묶어서 전송한다. 입력츨과 출력측의 전체대역폭이 다르다. 기억장치, 버퍼가 있고 고가이다.
7. 다음 특징을 갖는 패킷 교환방식의 종류는?
- 통신 당사자 간 물리적 논리적 전송로를 설정하지 않으므로 호 설정 지연이 없다.
- 패킷마다 독립적으로 라우팅하므로 패킷순서가 어긋날 수 있다.
- 교환 노드가 고장이 나더라도 대체 경로를 이용하여 전송가능하다.
: 회선 교환 방식 中 데이터그램 방식
8. 정보통신망의 3대 동작기능을 설명하시오
-
- 전달기능
- 음성, 데이터 등의 정보를 실제로 교환 및 전송하는 기능
-
- 신호기능
- 전기 통신망에서 접속의 설정, 제어 및 관리에 관한 정보의 교환기능
-
- 제어기능
- 단말과 교환설비 간, 네트워크 간의 접속에 필요한 수단들을 제어하는 기능.
9. 데이터 단말장치(DTE)의 4가지 기능을 설명하시오
- 입/출력기능
- 입/출력제어기능
- 에러제어기능
- 송수신제어기능
댓글남기기